1강을 듣고 정리해본 강의 노트.
간단하게 키웓드 중심으로 정리.
--------------------------
- 네트워크의 라우터 = 메시지를 전달받아서 목적지로 공유주는 역할
- 네트워크 엣지(Edge) : 웹 브라우저, 서버등 다 여기서 동작
- 네트워크 코어(Core) : 데이터 전송 (종단 시스템들을 연결해주는 역할)
TCP는 3가지 특성이 있음
- reliable : 신뢰성 있는 (오류가 없는) 채널에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전달
- flow control : receiver가 받을 수 있는 속도에 맞게 전달해야함.
- congestion control : 네트워크가 혼잡할 때 sender는 속도를 낮춰 송신해줘야한다. (= 네트워크의 능력치만큼 보내야 한다)
UDP는 TCP에 비해 아무것도 안해줌
근데 왜 쓸까? 신뢰성이 덜 필요할 경우에 의미가 있기는 하다. 몇 가지 요소들이 덜 필요할 때, 필수적이지 않을 때 주로 이용한다.
(ex. VoIP)
대신 TCP가 기능은 더 많지만 컴퓨팅 리소스가 더 많이 든다. 즉 더 비싸다는 의미이다.
protocol은 알다싶이 암묵적인 약속, 준비동작이다.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라우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총 2가지 방법이 있다.
- circuit switching (cs) : 출발지 > 목적지까지 가는 길을 예약하고 특정 예약자를 위해 이용하도록 함 ( 유선 전화망 )
- packet switching (ps) : 인터넷에섯 사용. 사용자가 보내는 단위를 그 때 그 때 올바른 단위로 전송해주는 것
-> ps는 제약이 없음, cs는 제약이 있음
하지만 ps도 몰리면 제약이 있다. 하지만 10명이 동시에 몰리지만 않는다면 각자의 리듬에 맞게 클릭해서 분산되서 제약없이 사용 가능하다.
이에 ps가 더 적합한 형태로 사용되는 이유이다.
사용자가 새벽에는 적게 이용하고, 붐빌 때는 붐비기에 굳이 circuit switching처럼 정해둘 필요가 없이 유동적으로 이용하는게 좋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이러한 packet switching도 문제가 있다.
바로 딜레이 로스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딜레이는 당연히 적을 수록 좋다)
- processing delay : 라우터에서 패킷을 받아서 검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 queueing delay : 들어오는 속도가 나가는 속도 보다 빨라서 router에 임시 저장 되는데, 이에 나가기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 포트를 늘려 딜레이를 줄일 수 있다. 톨게이트에 하이패스 노선을 추가하는 것. 차선을 늘리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다만 사용자 입력의 크기에 의해 발생되는 딜레이는 어쩔 수 없다.
> 저장된 것 보다 더 많은 입력이 들어올 수 있는데, 이 때 어쩔수 없이 버리게 되는 것들이 있는데 이를 "패킷 유실"이 일어난다고 한다. 유실된 것들은 재전송 할 필요가 있는데, 누가 도맡아야 할까?
인터넷의 경우는 유실된 라우터를 기준으로 직전 라우터가 진행하지 않고 가장 끝단의 라우터가 진행한다. 그 이유로는 중간에 위치한 라우터들은 비싸고 할 일이 많기 때문이다. 즉, 단순 작업을 빨리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기에 패킷 유실까지 관리할 여력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기본적으로는 양쪽의 엣지에서 패킷 유실에 대한 재전송을 담당한다.
- transmission delay : 첫 비트부터 마지막 비트의 나가는 순간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 마지막 비트가 온전히 빠져나오기 까지의 시간을 의미) band width가 클수록 transmission delay가 줄어든다. 즉 케이블이 크면 송신할 수 있는 양이 큰 것 처럼 width가 크면 transmission delay가 줄어든다.
> 좋은 라우터를 사용해서 딜레이를 줄일 수 있다.
- propagation delay : 마지막 비트가 올라온 순간부터 그 다음 라우터까지의 속도. 링크 길이를 빛의 속도로 나눈 것과 같아서 조정하기 어렵다. 그래서 어쩔 수 없는 부분,,,!
---------
간단하게 키워드 위주로 정리해보았다. 첫 강의이기도 해서 우선 러프하게 정리 후 이후 학습하는 내용들부터는 깊게 접근해볼 예정..!